파이썬에는 파이참(Pycharm)과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이라는IDLE가 있습니다. 프로그램마다 장단점이 있는데, 저는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을 사용할 생각입니다. 가벼울 뿐만 아니라 설치가 쉽거든요. 간단하게 서버화 시킬 수 있는 것도 장점인데, 이건 나중에 기회가 되면 따로 다루겠습니다.
실행01. 아나콘다(Anaconda3) 가상환경 진입
Activate tensor
실행 02.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설치
conda install jupyter notebook
가상환경에 진입한 후,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때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 반드시 설치를 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고요? 아나콘다에서는 가상환경에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하지 않아도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가상환경 내에 따로 설치하지 않으면Root 환경의 주피터 노트북이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실제 코드를 작성했을 때, 에러가 납니다. 분명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를 가상환경 내에 설치했는데, 찾을 수 없다고 뜬다는 겁니다. 그러면 그 이유가 뭘까요. 다른 환경에 있는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했기 때문입니다. 그 환경에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나는 거죠. 따라서 반드시 주피터 노트북을 가상환경 내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실행 03.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실행
jupyter notebook
가상환경에 진입한 상태에서'jupyter notebook'을 입력하고 5초 정도 기다립니다. 그러면 기본 웹브라우저로 주피터 웹페이지가 열리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실행 04.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에디터 실행
입력한 코드로 인해 주피터 페이지가 열렸다면, 우측 상단의 'New' 버튼을 누르시길 바랍니다. 새롭게 열리는 탭 메뉴에서 'Python 3'을 선택하시면 에디터 페이지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import tensorflow
에디터 창에서 'import tensorflow'를 입력하고 'Shift + Enter'를 누르셨을 때, 오류 메시지가 출력이 되지 않는다면 이번 글 내용을 문제없이 따라오신 겁니다. 하지만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tensorflow'』 문구가 출력된다면,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가상환경 안에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입니다.
번외 01.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기본 경로 설정
주피터 노트북의 기본 경로는 조금 이상합니다. 그래서 경로 변경 방법을 번외 내용으로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참고로 모든 컴퓨터가 이런 식으로 초기 경로가 잡히는 건 아닙니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아나콘다 프롬프트에 config 파일 생성 코드를 입력하시길 바랍니다. 생성이 제대로 되었다면, 생성 위치가 출력됩니다.
config 파일을 메모장으로 여신 뒤, 'c.NotebookApp.notebook_dir' 항목을 찾으셔야 합니다. 찾으셨다면, 맨 앞의 '#' 지운 뒤, 우측 작은따옴표 사이에 설정하고자 하는 기본 경로를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로컬 디스크(C:)에 폴더를 하나 만든 후, 'C:\jupyter_project' 경로를 작은따옴표 사이에 적어주었습니다. 즉, 『c.NotebookApp.notebook_dir= 'C:\jupyter_project'』 내용으로 수정해서 저장하였습니다.
주피터를 다시 실행시키면 바뀐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보다 로딩 속도도 훨씬 더 빠르고, 이상한 폴더가 없기 때문에 무척 깔끔합니다.
번외 02.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줄 번호(Line Number)
주피터 노트북 에디터 화면에 줄 번호를 넣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마우스로 블록을 선택하신 뒤, 키보드 'L' 버튼을 한 번 누르면 되기 때문입니다
번외 03.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테마(Theme) 바꾸기
pip install jupyterthemes
주피터 노트북의 기본 테마는 흰색입니다. 가상환경에 진입하신 후, 위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주피터 노트북 테마를 설치하는 것으로, 반드시 가상환경 내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jt -h
jt -l
jt -t 테마이름
설치가 완료된 후, 가상환경 내에 'jt -h'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 가능한 명령어 목록이 출력됩니다. 첫 번째, '-ㅣ' 명령어는 적용 가능한 테마 목록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t' 명령어는 테마를 적용합니다.
jt -r
테마 적용이 완료된 이미지입니다. 만약 주피터 노트북의 테마를 원래대로 바꾸고자 하신다면 리셋 명령어, 'jt -r'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반드시 주피터 노트북 서버를 닫은 후에 실행하셔야 하며, 명령어를 입력하신 뒤에는 인터넷 캐시를 비워주시면 됩니다.
[출처] [머신러닝 - 05] 아나콘다(Anaconda)에 주피터 노트북(JupyterNotebook) 설치, 그리고IPython|작성자 수박